배열3 [자료구조] 10. 스택 (Stack) 스택 (Stack) ▶ 쌓아놓은 더미. ▶ 특징 : LIFO (Last-In First-Out) : 후입 선출의 특징을 가짐. ≫ 가장 최근에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감. ▷ Top : 스택의 상단. 정보의 입출력이 발생하는 곳. ▷ Bottom : 스택의 하단. ▶ 정의 : Insert와 Remove가 동일한 한 쪽 끝(Top)에서 발생하는 제한 조건(constraint)을 갖는리스트형 구조. 스택 추상 데이터 타입 (ADT) º 객체 (Object) : 0개 이상의 아이템을 가지는 유한 선형 리스트. º 속성 (Attributes) : 리스트의 한쪽 끝(Top)에서 삽입(Insertion)과 삭제 (Deletion) 발생. · create(size) : 크기가 size인 empty stack 생.. 2021. 10. 30. [자료구조] 08. 포인터 ※ 사전 지식 변수 : 이름(name) / 값(value) / 주소 값(address)을 가짐. 포인터(Pointer) ▶ 다른 변수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변수. int a = 10; int *p; p = &a; //포인터 변수의 초기화 ▷ p : 포인터 변수. p의 값은 주소값. 해당 주소에 실제 위치한 값이 int. (p의 값으로 a의 주소 값 할당) ▶ 포인터가 가리키는 값의 변경 : * 연산자 사용. (역참조) ▷ 역참조 : p값인 주소값이 실제로 갖는 값을 가져옴. ▷ 변수 a의 값을 직접 변경하지 않아도 포인터 변수 p의 역참조를 통해 a의 값을 변경할 수 있음. int a = 100; int *p = &a; // a의 주소값을 이용해 포인터 변수 p의 값을 초기화 *p = 200; // 변수.. 2021. 10. 27. [자료구조] 07. 배열과 구조체 배열 (Array) ▶ 같은 자료형의 변수를 여러 개 만드는 경우에 사용한다. (타입이 같은 데이터들을 하나로 묶는 방법.) ▷ 예시 : int list 1, list 2, list3, list4, list5, list6; → int list [6]; ▶ 1차원 배열(One-Dimensional Array; Vector) int value, list[6]; // 정수형 배열과 변수 선언 list[0] = 100; // 배열 첫번째 원소에 값을 할당.(100 할당) value = list[0]; // 배열 첫번째 원소의 값을 가져와 value 수에 할당. (value = 100) ▶ 2차원 배열(Two-Dimensional Array; Matrix) int list[3][5]; //정수형 2차원 배열 선언.. 2021. 10. 26. 이전 1 다음